반응형

1. 소아와 의료

소아라는 말은 성인 또는 노인이라는 말에 대응해서 사용되는 것이며, 심신이 성장 발달기 즉 성숙과정에 있다는 뜻이며, 일반적으로 연령이 18~20세 미만의 사람을 지칭한다. 또 소아라는 말에는 연령에 의한 생물학적 측면 뿐만 아니라 부모에 대한 자녀라는 사회적 측면도 포함되어있다. 소앙가 성인에 도달할 때까지는 부모와 사회의 보호, 즉 보호자가 필요하다.

소아의 건강과 질병은 부모 등의 보호자에 의해 결정되고 판단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소아의료에 대한 개념도 소아와 관련성이 있는 가족, 지역, 인종, 국가, 시대 등의 사회 문화적 배경 등에 영향을 받아 달라지게 마련이다. 

근대의 소아의료는 질병에 대한 치료와 예방뿐만 아니라, 신체와 정신이 모두 건강한 소아로 육성한다는 보건학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그 본질은 보건학 및 예방학적 입장에 큰 비중을 두고 있다.

 

2. 소아치과의 정의와 목적

소아는 성인의 축소판이 아니다. 소아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성장 발달하는 과정에 있기 때문에 성인과는 다른 특징과 특이성을 가지고 있다.

소아의 악구강계 기관도 그 생리적인 혀태나 기능뿐만 아니라 질병과 이상의 출현방식이 성인과는 다르며, 또 발육단계에 따라서도 달라지게 마련이다. 그래서 소아의 치과의료는 성인 또는 고령자의 치과의료나 진료체계 등에 비해 여러 면에서 달라지게 된다. 

소아치과학은 의학영역의 소아과학과 마찬가지로 소아에 대한 치괴의료 전반을 실시하고, 발육이라는 생리적 변화에 대응해 나가는 치의학으로서, 치의학의 다른 전문분야인 치과보존학, 치과보철학, 구강외과학등 주로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치과치료의 전문분야가 분화한 것과는 다르다. 최근에는 노인치과라는 전문 분야가 동일 맥락으로 분화되려는 추세이다.

소아치과 의료는 발육 중에 있는 악구강계 기관의 정상적인 발육을 도모하고, 이것을 방해하는 우식 등의 구강질환이나 이상의 조기발견과 이들 질환의 치료와 예방을 실시하면서 영구 치열이 완성될 때까지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 대상으로 하는 연령은 악구강계의 여러기관이 발육을 개시하는 태생기부터 무치열기, 유치열기, 혼합치열기, 영구치열기라는 발육과정을 거쳐 모든 영구치 치근의 발육이 완료되고 영구치열의 교합이 완성되는 15~16세 까지이다.

소아는 성인과 달리 유치와 영구치가 생리적으로 교환되어 치열,교합이 변화한다. 이 교합이 형태적으로나 기능적으로 정상 발육하도록 관리하는것, 즉 악골, 치열,치아 및 이와 관련된 연조직으로 구성되는 악구강계 기관을 정상적으로 발육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는 영구치열에 의한 건전한 구강기능의 완성을 ㄷ도모함으로써 소아의 전신적 발육과 건강에 가여하는 것이다.

 

3. 예방업무와 치과위생사

치과위생사의 중요한 업무는 치과질환인 우식이나 치주질환의 발병을 예방, 억제하기 위한 예방처치와 보건지도를 하는 데 있다. 그 업무는 임상 또는 공중보건현장에서 실시된다. 유치 또는 영구치의 치아우식 발생시기는 치아의 맹출직후가 대부분이며 우식의 진행도 대개 소아기에 국한된다. 따라서 법랑질의 우식은 어린이의 질환이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치은염은 우치열기에도 나타나며 학동이나 청소년기에서는 치태의 침착에 의한 불결성 치은염이 다발한다. 근래에는 치주염의 초기 발병시기가 10대로 저연령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볼 때 소아기 동안에도 치주질환의 예방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치과위생사의 예방업무는 소아치과 진료에서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소아기의 우식 치료와 관리는 예방처치와 예방지도가 병행됨으로써 비로소 치료에 의한 효과가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만약 예방지도가 실시되지 않는다면 우식이 재발하게 되고 때로는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경우가 많다. 즉 소아치과 임상에서는 치료, 예방관리가 일체가 된 진료체계가 중요한 것이다. 이런 면에서도 치과위생사가 담당해야 할 업무는 많으며 동시에 책임도 무거운 것이다. 

소아의 보건지도는 소아에 한정되지 않고 어머니 등의 가족에 대한 지도가 필요하다. 학동기의 비교적 고연령의 소아인 경우에는 가정상황, 학교생활등 소아를 둘러싸고 있는 사회환경을 충분히 이해한 후에 지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소아에 대한 보건지도를 실시하는 치과위상사는 단순히 치과적인 지식이나 기술뿐만 아니라, 소아를 이해하기 위한 폴넓은 시야와 지식이 필요하다.

반응형